미국 연방정부 폐쇄, 셧다운 사태가 13일째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파가 심할 경우 전 세계로 미치기 때문에 미국의 일로만 넘길 수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무관하게 셧다운에는 다양한 기록이 존재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'셧다운의 기록'을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셧다운 제도가 시작된 건 1976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지금까지 21차례에 걸쳐 미 연방정부의 업무가 일시적으로 정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세 번째 셧다운을 맞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작년 1월과 2월 있었던 셧다운은 각각 사흘, 반나절만에 종료됐지만 이번엔 다릅니다. <br /> <br />역대 셧다운은 어땠을까요? <br /> <br />주로 의회와 백악관 주인이 다를 때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대부분 민주당 소속 대통령일 때 장시간 이어졌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기록을 따져볼까요? <br /> <br />재임 기간 중 셧다운 최다 횟수는 레이건 대통령이, 최장 기록은 클린턴 대통령이 갖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누적일수로 따지면 지미 카터 대통령이 총 56일로 가장 긴 셧다운을 경험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도 이색적인 기록을 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상하원이 모두 공화당인데 셧다운을 맞게 된 최초의 공화당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월의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2월 6시간 셧다운은 역대 최단기 기록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공화당 대통령 중 가장 긴 셧다운 사태를 맞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정부 기능을 마비시킨 사유는 다양했습니다. <br /> <br />예산안 처리 문제부터 저소득층 의료 보장제도 관련 문제 등이 있었고 해외원조와 지출 삭감, 니카과라 반군 지원 문제도 논란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정부 땐 오바마 케어 문제가, 그리고 지금은 이민법을 둘러싼 갈등으로 셧다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양한 기록과 특징을 갖고 있는 미국 셧다운 역사. <br /> <br />하지만 이보다도 중요한 건 트럼프와 의회의 힘겨루기가 세계에 그리고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여부겠죠. <br /> <br />셧다운 장기화로 세계 경제, 특히 금융과 무역 분야에 여파가 미친다는 사실은 여러차례 입증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행정부와 의회의 갈등은 미국의 남북미 외교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재의 셧다운은 더더욱 신경쓰일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10414254369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